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굿 모닝? 굳 모닝? 외래어 표기법

by 히메나 2025. 4. 23.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에서 널리 쓰이는 단어를 외래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버스, 컴퓨터, 피아노 따위가 있고 비슷한 말로는 들온말, 전래어, 차용어라고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외래어를 표기하는 법칙인 외래어 표기법이라는 것이 있는데요. 오늘은 외래어 표기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외래어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따라서 제3항에 따라

외래어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3항 받침에는 ',,,,,,'만을 쓴다.


 
위 원칙을 적용하면 굿 모닝이 맞고 굳 모닝은 틀린 표기입니다. 외래어를 표기할 때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일곱 개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문장부호의 위치와 띄어쓰기

 

괄호와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등의 위치와 띄어쓰기

문장 뒤에 괄호가 이어질 때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등의 문장 부호의 위치와 띄어쓰기에 관해서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본 문장 뒤에 문장 부호를 쓰고, 이어지는 괄호 안에 또 문장 부

informatedream.tistory.com

 

♣ 쌍점과 붙임표

 

쌍점과 붙임표

설명을 덧불일 때 사용하는 문장부호는 쌍점(:)일까요? 붙임표(-)일까요? 궁금하여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의 규정을 찾아보았습니다. (부록란에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문장부호 21가지에

informatedre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