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이름, 성과 호, 호칭어, 관직명 띄어쓰기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 제4절 제48항에 따르면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고 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1. 성과 이름, 성과 호 붙여쓰기
가. 성과 이름은 개별적인 단어이면서 하나의 고유 명사이기도 해서, 성과 이름을 분리하여 생각하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이에 성과 이름을 붙여 쓰도록 하며, 이름과 마찬가지 성격을 지닌 호(號)나 자(字)도 성에 붙여 씁니다.
김양수 | 서화담 | 채영신 |
홍길동 | 전시내 | 정송강 |
이충무공 | 이퇴계 | 김매월당 |
나.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거나 혼동할 우려가 있을 때는 띄어 쓸 수 있습니다.
남 궁억 / 남궁 억 | 선 우진 / 선우 진 | 황 보영 / 황보 영 |
2. 호칭어, 관직명 띄어쓰기
가. 성명 또는 성이나 이름 뒤에 붙는 호칭어나 관직명 등은 고유 명사와 별개의 단어이므로 띄어 씁니다.
홍길동 씨 | 홍 씨 | 길동 씨 |
김철수 군 | 김 군 | 철수 군 |
박선영 양 | 박 양 | 선영 양 |
김선숙 옹 | 김 옹 | 최치원 선생 |
민수철 교수 | 민 교수 | 박동식 박사 |
나. 호나 자 등이 성명 앞에 놓이는 경우도 띄어 씁니다.
율곡 이이 | 충무공 이순신 장군 | 백범 김구 |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발음은 같으나 뜻이 정반대인 단어가 궁금하시면 참고하세요.
무해하다/방화/소음/연패/정부(발음은 같으나 뜻이 정반대인 단어)
우리말에는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가 있습니다. 발음은 같으나 뜻이 다른 단어를 말합니다. 눈(하늘에서 내리는 '눈'과 사람의 '눈')이나 벌(손들고 서는 '벌'과 날아가니는 꿀'벌')처럼 말입니
informatedream.tistory.com
♣ '다르다/틀리다', '결제/결재', '가르치다/가리키다', '껍데기/껍질', '맞추다/맞히다'가 궁금하시다면 참고하세요.
다르다/틀리다, 결제/결재, 가르치다/가리키다, 껍데기/껍질, 맞추다/맞히다 구분하기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어 대화의 질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다르다/틀리다, 결제/결재, 가르치다/가리키다, 껍데기/껍질, 맞추다/맞히다'
informatedream.tistory.com
♣ 복수 표준어가 궁금하시다면 참고하세요.
'짜장면/자장면, 예쁘다/이쁘다, 만날/맨날, 허섭스레기/허접쓰레기, 삐지다/삐치다'는 모두 복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서의 언어를 '표준어'라 하는데, 둘 이상의 형태가 모두 표준어가 될 수 있는 '복수 표준어'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복수 표준어 중에서 '짜장면/자장면, 예
informatedre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