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2024 교육급여 및 학생교육비 지원 안내 - 주민센터 또는 누리집 신청

히메나 2024. 2. 11. 20:43

정부에서는 생계 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분에게 필요한 교육급여를 지급하여 빈곤층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실질적인 교육 기회를 보장합니다. 저소득층 초·중·고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급여 및 학생 교육비 지원 사업에 대해 알려드리니 지원을 희망하는 가정에서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꼭 신청하시어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

도움의 손길

1. 지원내용

구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
(연 461,000원)
교육활동지원비
(연 654,000원)
교육활동지원비(연 727,000원)
*고교무상교육 제외 학교 재학 시
학생교육비 방과후학교자유수강권, 교육정보화(인터넷통신비 지원 등) 전체 학교 해당
고교 학비, 급식비 일부 해당 학교
그 외 각종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교복비, 수학여행비 등)

 

2.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구분 내용
기간 연중 신청 가능(단, 추후 집중 신청기간 추가 안내)
지원
대상
교육급여 ▪ 가구의 소득과 재산(자동차 포함)을 계산한 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학생
(4인 가구 기준 월 약 2,864천원/보건복지부 고시)
교육비 ▪ 기초생활수급권자, 법정차상위, 한부모가족보호대상자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시도교육감이 정한 기준에 해당하는 자(통상 50~80% 이하)
신청방법
(택1)
① 방문신청 ② 누리집 신청
학부모 주민등록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 교육비 원클릭 신청 시스템(http://oneclick.neis.go.rk)
※ 단, 교육급여 수급자로 선정되면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e-voucher.kosaf.go.kr)을 통해 바우처 추가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학생교육비 지원 대상자는 해당없음.)
제출 서류 신청서, 소득재산시고서, 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각종 증빙자료

교육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일환으로 전국의 지원 기준이 동일하고, 교육비는 시·도교육청의 예산에 맞추어 지원하는 사업으로 시·도별로 지원 기준이 다릅니다.
 

3. 유의사항

구분 내용
신입생 신청 시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신입생
 - 자녀 중 이미 지원 받는 자녀가 있더라도 입학 이후 신규 신청이 필요합니다.
교육비 납부유예
 - 납부유예를 원하시는 자녀 학교 행정실로 문의
교육급여 대상자로 선정됐을 시 교육급여는 바우처(카드포인트 지급)로 지급됨에 따라, 교육급여 대상자로 선정되면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e-voucherr.kosaf.go.kr)을 통해 바우처 추가 신청을 하셔야 교육급여 수령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4. 문의

■ 중앙상담센터(학생교육비 관련): ☎ 1544-9654
■ 시·도교육청(교육급여, 학생교육비 관련)
■ 한국장학재단(교육급여 교육활동비 바우처 관련): ☎ 1599-2000
■ 자녀 재학 학교
 

5. 신청방법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누리집(www.bokjiro.go.kr 또는 oneclick.neis.go.kr)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https://oneclick.neis.go.kr/nxui/index.html

oneclick.neis.go.kr

 

 

 
 
 
♣ 울산광역시 남구 무료 자전거보험이 궁금하시면 참고하세요.

 

울산광역시 남구 무료 자전거보험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자전거 이용 현황'(2022년 기준)에 따르면(아래 기사 참고) 2022년 자전거 운전자가 낸 사망 사고(사망자 91명)가 70명이던 2021년과 비교해 약 30%가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자전

informatedream.tistory.com